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

아차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아차산 소개서울특별시 광진구와 경기도 구리시를 잇는 높이 295.7m의 산. '阿且山'이라고도 쓴다.북쪽으로 용마산이 이어지며 이 두 산을 하나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따로 구분한다. 서울에 있는 산 중에서는 262m인 남산과 함께 낮은 편이지만, 사람들은 왜인지 남산보다는 훨씬 높은 산인 줄 안다. 그 이유는 남산은 맨 위까지 개발이 되어 있어 공원도 있고 버스가 다니지만, 용마산/아차산은 윗부분이 거의 산 그대로이고, 기슭에만 시설이 있는 데다가 아무것도 없는 험준한 것도 꽤 남아 있으며, 산 자체도 남산보다 크기 때문에 산 몸체가 훨씬 커 보이고 더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용마봉의 북동쪽 사면은 길이 없어 걸어서는 못 오르고, 정상 능선에만 길이 있다.상당히 낮은 산이라 남산을 제.. 2024. 12. 16.
인왕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인왕산 소개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서대문구에 걸쳐있는 고도 338.2 m의 산으로, 산 중에서도 바위산에 속한다. 한양도성의 산으로는 북악산보다 3.8 m 낮은 2위이며 평균 경사도는 5.12%이다.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에서 ‘우백호’를 담당하는 산이라고 한다. 이는 경복궁 정전에서 남쪽을 바라봤을 때 오른쪽에 인왕산이 있기에 붙여진 것이다.'인왕산 모르는 호랑이가 없다'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로 조선 시대에는 호랑이로 매우 유명한 산이었다.[3] 따지고 보면 지리산이나 금강산이 훨씬 더 웅장해서 호랑이도 많았을 텐데 어째서인지 야산 격인 이 인왕산의 호랑이가 더 유명하다.[4] 정조 대왕 때만 해도 호랑이가 서울에 흔했고, 이들 호랑이가 민가는 물론 궁궐까지 난장판으로 만들었기 때문인 듯. 참.. 2024. 12. 15.
관악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 관악산 소개관악산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의 경계에 자리한 명산으로, 그 해발 고도는 632미터입니다. 이 산은 경기 5악에 속하는 산 중 하나로, 역사적, 지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장소입니다. 관악산은 그 자체로 서울과 경기도 남부 지역의 자연적, 문화적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관악산의 명칭은 서울의 관악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973년, 서울 영등포구에서 관악구가 분구되면서 이 산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또한, 관악산은 **옛 과천군의 진산(鎭山)**으로서, 그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문화적 상징이었습니다. 관악산은 단순한 산이 아닌, 서울 남부의 역사와 발전을 엿볼 수 있는 장소입니다.산의 정상부에는 11개의 국기봉이 있으며, 이는 관악산을 종주할 수 있는 주.. 2024. 12. 14.
북한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북한산 소개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양주시·의정부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36.5m(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지도)의 산으로, 이름은 조선 후기 시대 때의 한성의 북쪽이라는 뜻에서부터 유래되었다.북한산은 1억 7천만년전에 형성되었으며, 최초로는 마한의 땅으로 삼국시대 백제에서는 한산(漢山)이라 불렸고 인수봉은 부아악(負兒嶽)이라 불렸으며 시조 비류와 온조 형제가 올랐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31년 이후 횡악(橫嶽)이라고도 불렸다. 475년 고구려가 이곳을 정벌하여 북한산군(北漢山郡)이라 칭한다. 신라가 이곳을 정벌하고(553년) 난 후 557년에 일시적으로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치하였다. 이때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가 세워졌다.. 2024. 12. 13.
검단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검단산 소개경기도 하남시와 광주시에 걸쳐있는 최고 높이 657m의 산. 남한산에서 갈라져 나온 산으로, 한강 방면으로 뻗어있다. 남쪽으로 용마산, 장작산 등과 이어져 있다. 같은 남한산에서 갈라져 나간 성남의 검단산 이름과 쓰는 한자까지 똑같지만 다른 산이다. 두 산이 인접하지는 않았지만 가까운 탓에 하남의 검단산과 성남의 검단산이 같은 산인 줄 알고 헷갈려 길을 잘못 찾거나, 두 산이 붙어있는 줄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남한산을 기준으로 성남의 검단산은 서쪽에, 하남의 검단산은 동쪽에 있다. 검단산은 한강을 사이로 북쪽으로 남양주시의 예빈산과 마주하고 있고, 그 아래로 팔당이 있다. 팔당댐은 이 산과 예빈산 사이를 흐르는 한강에 놓인 댐이다. 동쪽으로 뻗어있는 수도권의 시가지는 사실상 검단산부터 .. 2024. 12. 12.
청계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 청계산 소개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경기도 과천시, 성남시, 의왕시 경계에 걸쳐 있는 산. 등산 초보자들이 많이 가는 산으로도 유명하다. 전국에 이름이 청계산인 산은 여러 곳이 있으나, 여기서 설명할 청계산은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 한복판에 우뚝 솟아있어서 전국 청계산들 중에 가장 인지도가 높다. 관악산과 함께 서울의 남쪽 경관을 형성한다. 과거에는 청룡산(靑龍山)이라 불렸다고 하는데, 청룡이 승천했다 하여 청룡산이라 불렀다고도 하고, 풍수지리적으로 한양의 주산을 관악산으로 보았을 때 좌청룡에 해당하여 청룡산이라 불렀다고도 한다. 최고봉은 망경대(望景臺)로, 과천시와 성남시의 경계에 있으며 높이는 18m이다. 서울 근교에 있는 산 치고는 높이가 높다. 백두대간에서 한남정맥(漢南正脈)이 갈라지고 한남정맥에서 .. 2024.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