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 백운산 소개백운산(白雲山)은 우리나라 곳곳에 흔히 볼 수 있는 산 이름으로, 그만큼 자연과 전통적인 신앙에서 깊은 관계를 맺어온 산이다. 이름처럼 흰 구름이 산의 봉우리를 감싸는 모습은 신령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한국인의 정서 속에서 산신령과 설화로 꾸준히 사랑받아왔다. 특히 광양시와 구례군 경계에 자리 잡은 백운산은 한반도 남단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1,222m의 고도와 함께 봉황, 돼지, 여우의 신령한 기운을 간직한 영산으로 꼽힌다. 백운산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호남정맥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며, 섬진강 물길의 근원이 되는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다. 이곳은 전라남도의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지리산 노고단(1,507m) 다음으로 높은 해발을 자랑하며, 주변 자연 경관은 한려수도, 광양..
2024. 11. 30.
운장산 소개, 역사적 배경, 총평
1. 운장산 소개운장산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朱川面)·정천면(程川面)·부귀면(富貴面)의 경계에 있는 산.높이는 1,126m이다. 산 이름은 산중(山中) 오성대에서 은거하던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 운장 송익필(宋翼弼)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지며, 19세기 중엽까지는 주줄산으로 불렀다.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 및 응회암으로 된 지질로 이루어졌고, 노령산맥의 주능선을 이루는 최고봉이다. 완주군과 진안군의 접경과, 금강(錦江)과 만경강(萬頃江)의 분수령을 이룬다. 남한의 대표적 고원지대인 진안고원의 서북방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에는 상봉, 동봉, 서봉의 3개 봉우리가 거의 비슷한 높이로 있다. 동쪽 10km 부근에는 같은 능선에 속하는 구봉산(九峰山:1,000m)이 있다. 서봉은 일명 독재봉이..
2024.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