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등산 국립공원안내 Guide to Wudeshan National Park

by sinwhy 2025. 2. 11.
반응형

1.무등산 국립공원안내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전체면적 75.425㎢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주로 화순안산암, 무등산응회암(석영안산암질응회암, 무등산용암, 석영안산암), 도곡유문암, 미문상화강암, 흑운모화강암, 석영반암, 암맥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등산의 가장 큰 특징은 주상절리이다. 주상절리는 고온의 용암이 분출 후 지표에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하여 다각형의 돌기둥이 갈라지며 형성된 다각형의 각이 진 기둥을 뜻한다. 이러한 주상절리는 무등산 주상절리대(서석대, 입석대, 광석대), 규봉암, 중봉 등에서 잘 관찰할 수 있다.

특히 해발1,187m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입석대·규봉 등 수직 절리상의 암석이 석책을 두른 듯 치솟아 장관을 이룬다. 마치 옥새 같다 하여 이름 붙여진 새인봉은 장불재에서 서쪽 능선상에 병풍같은 바위절벽으로 이뤄져 있으며 입석대, 서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기암·괴석 등 경관자원 145개소가 분포되어 있다.

또한 수달, 구렁이, 삵, 으름난초 등 멸종위기야생생물 26종을 포함하여 총4,066종의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28점이 보유되어 있다.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공원탐방 < 국립공원공단

2. 무등산 국립공원 사무소

사무소주소전화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백운촌길 3-3
061)371-1187

 

3. 교통편안내

◈ 서울(소요시간 4시간 20분)
서울 → 경부고속도로(한남IC) → 천안논산민자고속도로(광주방면) → 논산분기점 → 호남고속도로(광주방면) → 동광주IC(화순방향) → 학운IC(증심사방향)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부산(소요시간 4시간)
부산 → 거천대로 →아시아드대로 → 제2만덕터널 → 남해고속도로 → 대저분기점(창원방면) → 호남고속도로 → 동광주IC(화순방향) → 학운IC(증심사방향)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 대구(소요시간 4시간)
대구 → 경부고속도로(북대구IC) → 중앙고속도로(창원방면) → 중부내륙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고서분기점) → 동광주IC(화순방향) → 학운IC(증심사방향)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 대전(소요시간 3시간20분)
대전 → 호남고속도로(유성IC방면) → 동광주IC(화순방향) → 학운IC(증심사방향)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버스

◈ 서울(소요시간 4시간)
센트럴(호남)터미널 → 광주고속버스터미널(유스퀘어)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09번 버스 30분)
◈ 부산(소요시간 4시간)
부산고속버스터미널 → 광주고속버스터미널(유스퀘어)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09번 버스 30분)
◈ 대구(소요시간 4시간)
대구동부고속터미널 → 광주고속버스터미널(유스퀘어)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09번 버스 30분)
◈ 대전(소요시간 3시간)
대전고속버스터미널 → 광주고속버스터미널(유스퀘어)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09번 버스 30분)

 

기차

◈ 서울(소요시간 4시간)
용산역 → 광주역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택시 25분)
용산역 → 광주송정역 → 지하철(학동,증심사입구역)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택시 5분)

◈ 대전 (소요시간 2시간 30분)
대전역 → 광주역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택시 25분)
대전역 → 광주송정역 → 지하철(학동,증심사입구역)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택시 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