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국립공원 소개
설악산국립공원은 한반도 등줄기인 백두대간에 위치한 산으로 선캄브리아대의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대청봉 부근과 백담사 남쪽의 육성층인 설악산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이뤄져 있다. 설악산은 백악기말 화강암이 관입한 이래로 단층작용과 습곡작용에 의해 서서이 융기하다가 신생대 제3기 약 2,300만 년 전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태백산맥이 형성되면서 함께 높이 솟아 올랐다.
최고봉인 대청봉을 중심으로 북서쪽의 마등령, 미시령으로 이어지는 설악산맥, 서쪽의 귀때기청 대승령으로 이어지는 서북주능, 북동쪽의 화채봉 칠성봉으로 이어지는 화채능선 등 3개의 주능선으로 크게 지형구분을 할 수 있다. 이들 능선을 경계로 서쪽은 내설악, 동쪽은 외설악, 남쪽은 남설악으로 불린다. 주요 경관으로는 호박바위, 기둥바위, 넓적바위 등이 공룡능선, 용아장성, 울산바위를 중심으로 발달해 있어 우리나라 제일의 암석지형의 경관미를 갖춘 국립공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상경관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곳으로서 십이선녀탕, 구곡담, 천불동계곡을 중심으로 많은 폭포와 다양한 크기의 소, 담 등이 암석지대와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아내고 있다.
설악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베리아아구와 중국아구의 동식물이 교차되는 지역으로서 지리적으로 시베리아구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형상 북한의 고지대와 연접하는 태백산맥 북쪽에 위치한 높은 지대이기에 시베리아구의 동물들이 남하하여 서식하고 있다.
설악산은 천연보호구역, 국립공원,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식물자원의 보고이며, 온대중부의 대표적인 삼림지대이다. 이 지역은 낙엽활엽수와 상록침엽수의 혼효림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부분적으로 단순림을 형성한 곳도 있다. 식물분포로는 북방계식물(눈잣나무 등)의 남한지대인 동시에 남방계식물 (때죽나무 등)의 북한지대로서 그 중요성이 있다. 또한 설악산 일대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자연자원의 분포 서식지로 1982년 유네스코(UNESCO)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설정되었으며 2005년 12월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으로부터 카테고리Ⅱ(국립공원)로 지정되었다.

◈ 서울(서울특별시청 기준)
ㅇ서울 → 서울양양고속도로(1시간 34분) → 양양JC → 양양TG → 양양IC교차로 → 양양 → 오색주차장 → 약수터탐방지원센터
◈ 부산(부산광역시청 기준)
ㅇ부산 → 경부고속도로(49분) → 동해고속도로(1시간 14분) → 양양JC → 양양TG → 양양IC교차로 → 양양 → 오색주차장 → 약수터탐방지원센터
◈ 대구(대구광역시청 기준)
ㅇ대구 → 경부고속도로(4분) → 중앙고속도로(2시간 33분) → 서울양양고속도로(52분) → 양양JC → 양양TG → 양양IC교차로 → 양양 → 오색주차장 → 약수터탐방지원센터
◈ 대전(대전광역시청 기준)
ㅇ대전 → 호남고속도로지선(3분) → 경부고속도로(14분) → 중부고속도로(48분) → 영동고속도로(29분) → 중앙고속도로(31분) → 서울양양고속도로(52분) → 양양JC → 양양TG → 양양IC교차로 → 양양 → 오색주차장 → 약수터탐방지원센터
◈ 광주(광주광역시청 기준)
ㅇ광주 → 호남고속도로(1시간 8분) → 호남고속도로지선(32분) → 경부고속도로(14분) → 중부고속도로(55분) → 영동고속도로(29분) → 중앙고속도로(31분) → 서울양양고속도로(52분) → 양양JC → 양양TG → 양양IC교차로 → 양양 → 오색주차장 → 약수터탐방지원센터
◈ 서울
ㅇ고속버스 : 강남고속버스터미널→ 양양고속버스터미널(2시간55분)→ 양양시외버스터미널(5분)→ 오색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ㅇ시외버스 : 동서울터미널→ 오색버스정류장(2시간30분)→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부산
ㅇ시외버스 : 동부시외버스터미널→ 속초시외버스터미널(6시간)→ 오색버스정류장(45분)→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대구
ㅇ시외버스 : 북부시외버스터미널→ 양양시외버스터미널(5시간)→ 오색버스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대전
ㅇ시외버스 : 동부시외버스터미널→ 오색버스정류장(5시간)→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광주
ㅇ시외버스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속초시외버스터미널(6시간)→ 오색버스정류장(45분)→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ㅇ청량리역→ 강릉역(6시간)→ 강릉시외버스터미널(25분, 28,19-7,21번 시내버스)→ 양양시외버스터미널(1시간, 속초행 시외버스)→ 오색버스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부산
ㅇ부산역→ 동대구역(45분)→ 강릉역(6시간 25분)→ 강릉시외버스터미널(25분, 28,19-7,21번 시내버스)→ 양양시외버스터미널(1시간, 속초행 시외버스)→ 오색버스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대구
ㅇ동대구역→ 강릉역(6시간25분)→ 강릉시외버스터미널(25분, 28,19-7,21번 시내버스)→ 양양시외버스터미널(1시간, 속초행 시외버스)→ 오색버스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대전
ㅇ대전역→ 제천역(2시간)→ 강릉역(4시간)→ 강릉시외버스터미널(25분, 28,19-7,21번 시내버스)→ 양양시외버스터미널(1시간, 속초행 시외버스)→ 오색버스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
◈ 광주
ㅇ광주역→ 서대전역(2시간)→ 대전역(25분, 202번 시내버스)→ 제천역(2시간)→ 강릉역(4시간)→ 강릉시외버스터미널(25분, 28,19-7,21번 시내버스)→ 양양시외버스터미널(1시간, 속초행 시외버스)→ 오색버스정류장(20분, 시내·외버스)→ 약수터탐방지원센터(도보 1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