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백산 국립공원 안내 Introduction to Xiaobaishan National Park

by sinwhy 2025. 1. 21.
반응형

소백산 안내

1987년 12월 우리나라 국립공원 제18호로 지정(건설부고시 제645호)된 소백산국립공원은 총면적은 322.011㎢로 경북지역에 168.407㎢, 충북지역에 153.604㎢가 분포되어 있다.

소백산은 우리나라 12대 명산 중의 하나다. 한반도의 등뼈 같은 백두대간 줄기가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중심에 우뚝 선 소백산국립공원은 영주분지를 병풍처럼 두르고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1개읍·3개면, 경상북도 영주시 1개읍·4개면과 봉화군 1개면에 속해있다.

비로봉(1,439m), 국망봉(1,421m), 제1연화봉(1,394m), 제2연화봉(1,357m), 도솔봉(1,314m), 신선봉(1,389m), 형제봉(1,177m), 묘적봉(1,148m)등의 많은 영봉들이 어울려 웅장하면서도 부드러운 산세로 수려한 경관을 보여 주고 있다.

소백산국립공원 및 주변지역은 주로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선캄브리기에 형성된 편마암이 두터운 풍화층을 형성하여 주능선은 토산의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소백산국립공원은 중생대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습곡, 단층이 발생하였으며, 소백산 북서부의 단양지역은 석회암 분포지역으로 인근에 천동동굴 등 석회동굴이 위치하고 있다.

소백산국립공원의 지질특성을 관찰할 수 있는 지질명소로는 희방폭포가 있는 희방계곡, 죽계구곡의 하천지형이 있으며 소백산 주능선을 따라 풍화와 침식으로 만들어진 토르 지형을 볼 수 있다.

 

소백산국립공원 < 국립공원탐방 < 국립공원공단

소백산국립공원사무소

소백산국립공원사무소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사무소주소전화
소백산국립공원사무소
36020 경북 영주시 봉현면 소백로 1794
054-630-0700

교통편 안내
 

◈ 서울(소요시간 3시간 1분) 서울 → 경부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 → '소백산국립공원, 풍기, 봉화' 방면 → 초암탐방지원센터(초암사)

◈ 부산(소요시간 3시간 17분) 부산 →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 → 경부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소백산국립공원, 풍기, 봉화' 방면 → 초암탐방지원센터(초암사)

◈ 대구(소요시간 1시간 56분) 대구 → 경부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소백산국립공원, 풍기, 봉화' 방면 → 초암탐방지원센터(초암사)

◈광주(소요시간 4시간 4분) 광주 → 광주대구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중앙고속도로 -> '소백산국립공원, 풍기, 봉화' 방면 → 초암탐방지원센터(초암사)

◈ 대전(소요시간 2시간 44분) 대전 → 중부고속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소백산국립공원, 풍기, 봉화' 방면 → 초암탐방지원센터(초암사)

 

◈ 서울: 고속터미널, 동서울터미널 → 영주종합터미널 (2시간20분)

◈ 부산: 부산동부버스터미널 → 영주종합터미널 (3시간 30분)

◈ 대구: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 영주종합터미널 (1시간 40분)

◈ 대전: 대전복합터미널 → 영주종합터미널 (3시간)

◈ 영주종합터미널 → 중앙시장(도보20분) → 53(덕현)(중앙시장) → 배점2리 정류장 하차(45분, 배점주차장 입구) → 초암탐방지원센터(도보 1시간, 죽계구곡 탐방로)

◈ 서울: 청량리역 → 영주역 (3시간 10분)

◈ 부산: 부전역→ 영주역 (4시간 20분)

◈ 대구: 동대구역/대구역 → 영주역 (5시간)

◈ 대전: 대전역 → 영주역 (3시간 10분)

◈ 영주역 → 영주여객 정류장(도보20분) → 53(덕현)(영주여객) → 배점2리 정류장 하차(50분, 배점주차장 입구) → 초암탐방지원센터(도보 1시간, 죽계구곡 탐방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