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산 국립공원안내
북한산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 속의 자연 공원이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문화자원을 온전히 보전하고 쾌적한 탐방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걸쳐 약 76.922㎢의 면적을 차지하며, 우이령을 중심으로 남쪽의 북한산 지역과 북쪽의 도봉산 지역으로 구분된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중생대 때 관입된 화강암이 주된 암석을 이루고 있다. 북한산을 구성하고 있는 화강암 지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풍화 침식되면서 보른하르트(Bornhardt), 토르(tor), 판상절리, 수직절리, 타포니(tafoni), 나마(gnama), 그루브(groove) 등 다양한 미지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고생대부터 화강암의 지반이 융기 및 침식되어, 지금으로부터 약 2억 만년전 중생대 쥐라기 중엽의 대보조산(大寶造山)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대표적인 지질명소로는 인수봉, 사모바위, 구천계곡 등 능선과 계곡을 따라 위치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도권 최고의 야외 지질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 거대한 화강암이 빚어낸 ‘선인봉, 자운봉, 만장봉, 우이암, 오봉’은 도봉산을 대표하는 봉우리로 장관을 이룬다.
이처럼 북한산국립공원은 거대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주요 암봉 사이로 수십 개의 맑고 깨끗한 계곡이 형성되어 산과 물의 조화를 빚어내고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1,300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삼국시대 이래 과거 2,000년의 역사가 담겨진 북한산성을 비롯한 수많은 역사 ·문화유적과 100여개의 사찰, 암자가 곳곳에 위치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생태, 문화, 역사 학습장소를 제공한다.
공원안내 < 북한산국립공원 < 국립공원탐방 < 국립공원공단
2.북한산 국립공원사무소 주소
사무소주소전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
서울시 성북구 보국문로 262 (정릉동 산 1-1) |
02-909-0497 |
3.교통편 안내
◈부산(소요시간 5시간 10분)
부산 → 남해고속도로(마산방면) → 대저분기점 → 중앙고속도로(대구방면) → 대동분기점 → 대구부산고속도로(대구방면) → 동대구분기점 → 경부고속도로(대전방면) → 김천분기점 → 중부내륙고속도로(충주방면) → 여주분기점 → 영동고속도로(인천방면) → 호법분기점→ 통영중부고속도로(동서울방면)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구리IC → 북부간선도로 → 내부순환도로 → 홍제방향 →홍제사거리 → 불광사거리 → 은평경찰서 → 입곡삼거리(송추방향) → 북한산성입구
◈ 대구(소요시간 4시간 10분)
대구 → 구마고속도로(칠곡,대전,부산 방면으로 우측) → 서대구IC → 경부고속도로(대전방면) → 김천분기점 → 중부내륙고속도로(충주방면) → 여주분기점 → 영동고속도로(인천방면) → 호법분기점→ 통영중부고속도로(동서울방면)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구리IC → 북부간선도로 → 내부순환도로 → 홍제방향 →홍제사거리 → 불광사거리 → 은평경찰서 → 입곡삼거리(송추방향) → 북한산성입구
◈광주(소요시간 4시간 20분)
광주 → 호남고속도로(서울,전주,광산IC 방면으로 좌측) → 장성분기점(전주,백양사방면) → 익산분기점(대전,익산방면) → 천안논산고속도로(서울,광주,천안논산고속도로 방면으로 우측) → 경부고속도로(서울,천안방면으로 좌측) → 안성분기점(서울,동탄분기점,오산 방면) → 한남IC → 내부순환도로(동부간선도로 방면으로 우측) → 홍제방향 →홍제사거리 → 불광사거리 → 은평경찰서 → 입곡삼거리(송추방향) → 북한산성입구
◈ 대전(소요시간 3시간 10분)
대전 → 경부고속도로(서울,동서울방면) → 신탄진IC → 청원분기점(서울,청주,중부고속도로,남이분기점 방면) → 남이분기점(서울,목천 방면) → 천안분기점(서울,안성,천안 방면) → 안성분기점(봉담동탄고속도로,서울,동탄분기점,오산 방면) → 동탄분기점(서울,수원 방면) → 신갈분기점(서울,판교 방면) → 판교분기점 → 한남IC → 내부순환도로(동부간선도로 방면으로 우측) → 홍제방향 →홍제사거리 → 불광사거리 → 은평경찰서 → 입곡삼거리(송추방향) → 북한산성입구
◈부산(소요시간 4시간 40분)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 대구(소요시간 4시간 40분)
대구고속버스터미널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광주(소요시간 5시간 10분)
유스퀘어(고속버스) → 센트럴시티터미널 →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 대전(소요시간 2시간 10분)
대전 고속버스둔산정류장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부산
부전역(무궁화) → 청량리역 → 1호선(청량리 →종로3가) →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8시간 40분)
화명역(새마을) → 서울역 →지하철 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34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6시간 )
부산역(KTX) → 서울역 →지하철 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4시간 30분)
◈ 대구
대구역(새마을) → 서울역 → 지하철 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4시간 30분)
동대구역(KTX) → 서울역 → 자하철 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2시간 30분)
◈광주
서광주역(무궁화) → 용산역 → 1호선(용산 → 종로3가) →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5시간)
광주역(새마을) → 영등포역 → 1호선(영등포 → 종로3가) →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5시간 30분)
광주역(KTX) → 용산역 → 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3시간)
◈ 대전
대전역(새마을) → 영등포역 → 1호선(영등포 → 종로3가) →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3시간 30분)
대전역(KTX) → 서울역 → 지하철 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 구파발역 → 버스 704번, 양주37번 북한산성입구 하차(소요시간 2시간 30분)